리모델링 수직 증축, 양도세 중과 폐지 등 부동산 활성화 법안 시행까지 '산 넘어 산'
MB정권에 이어 박근혜정부에서도 부동산 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각종 정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정작 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법안 처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정부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시장 급등기에 도입된 규제를 푸는 법안은 그렇다 해도 박근혜정부가 야심차게 내놓은 4·1대책의 정책들도
입법화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다음 달 정기국회를 앞두고 정국이 급랭, 정부의 한숨은 더 커지고 있다.
■국회에 발 묶인 부동산대책
5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집값 급등기 때 도입된 분양가상한제와 다주택자양도세중과 폐지,
4·1대책에 담긴 리모델링 수직증축 등을 위한 법안이 모두 국회에 발이 묶여 있다.
주택업계 등이 요구하는 다주택자양도세 중과 폐지(소득세법)는 기획재정위원회에 또 계류됐고
분양가상한제 탄력운영 법(주택법)은 아예 국회에서 논의조차 되지 못한 상태다.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을 위한
'주택법 개정안'과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시 기존주택의 전용면적 내에서 2주택 공급을 허용하고
현금청산 시기를 관리처분인가 이후로 조정하는 내용의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도 사정은 비슷하다.
■시행 늦춰지면 시장 타격 심화
이렇게 주택경기 회복을 위해 업계와 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분양가상한제 등 3가지 법안과
정부가 내놓은 대책들이 잇따라 국회에서 덜미를 잡힘에 따라 박근혜정부의 부동산 정책 역시
MB정권 때처럼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 정상화 대책을 시행하기 위한 법안이
입법화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승환 국토부 장관도 최근 시장 급등기에 도입된
분양가상한제 탄력운영 등 법안에 대해 여야가 합의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의 논리와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법안에 여야가 대승적 차원에서 입장정리 및 정책공조를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부동산 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종부세 올리고 양도세 내린다 (0) | 2013.08.08 |
---|---|
재개발·재건축 서류 위조 막는다…서울시, 서면 결의서 모두 공개 (0) | 2013.08.07 |
주택업계 "시장 살리려면 가종 규제 풀어야 " (0) | 2013.07.31 |
서울시, 9개 경전철 신설…재원·사업성·실현 가능성 '물음표' (0) | 2013.07.24 |
<정부 취득세 인하 방침 일문일답> (0) | 201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