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보기 클릭 ☞ 기준금리 사상 최저 1.75%…부동산시장 ‘거대한 움직임’
기사보기 클릭 ☞기준금리 1% 시대… 재테크 시장 어떻게 변할까
기사보기 클릭 ☞ 저금리시대 부동산시장 영향은
사상 첫 '정책금리 1%대 시대' 진입은 부동산 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1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책금리 하락으로 시중금리가 내리게 되면
주택 매매시장에서는 전세수요자들의 매매수요 전환이 더 늘고
저금리로 갈곳을 잃은 뭉칫돈이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되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월세 시장에서는 저금리로 전세주택의 월세전환을 부추겨 전셋값 상승세도 현재보다 더욱 가파를 것으로 전망된다.
즉, 저금리로 인한 전세주택의 월세전환이 빨라지면서 전셋값 상승을 더 부추기고 이로 인해
전세수요자들이 매매수요로 전환돼 거래가 늘면서 매매가격이 오르는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잇단 부동산시장 활성화 정책으로 지난 1월과 2월 주택거래량이
2006년 이후 사상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주택시장이 되살아나는 모습이 완연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세 성수기인 봄 이사철을 맞아 이 같은 전망은 현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금융비용 줄어 매매시장 유입
우선 매매시장에서는 실수요자들의 유입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중금리가 내리면 주택 구입에 필요한 금융비용 부담이 감소하게 되고 이 결과 주택매매시장 문턱이 낮아지게 된다.
시장에서는 현재 3% 대의 주택대출금리가 많게는 2%대까지 하락할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임달호 현도컨설팅 사장은 "최근 몇년새 전세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전세가격에 아주 약간의 대출을 받으면
집을 살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세수요자들이 매매수요로 돌아서는 사례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경우 전세가율이 무려 70% 안팎에 달하고 있으며
재건축 대상 아파트를 제외할 경우 80%를 훌쩍 넘어선 상태다.
서울 노원구 중계동 한 공인중개사는 "기존 아파트 시장은 급매물이 거래되고 나면
추가 매수세력이 붙지않아 본격적인 상승세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앞으로 매매전환 수요가 늘어나면
결국 기존 아파트도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특히 재건축 시장은 본격적인 저금리 시대를 맞아 큰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됐다.
저금리로 갈곳을 찾지 못하는 뭉칫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경우 가장 1순위가 재건축 단지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재건축 단지는 과거 고점 대비 가격도 많이 낮아졌음에도
일반 수요자의 경우 워낙 접근이 어려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지만 재건축 연한단축 등
불합리한 규제들이 많이 완화되면서 사업성이 좋아진 상태"라며 "자금력 있는 투자자들은
과거에도 그랬듯이 이번에도 재건축 단지에 가장 먼저 눈을 돌릴 것"으로 예상했다.
■전세수요자 매매수요로 전환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전세난은 가중될 전망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금리까지 떨어지면 전세보증금 활용도가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업계는 집 주인이 전세를 월세로 전환, 임대수익을 거두려는 움직임이 빨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리얼투데이 양 팀장은 "금리가 떨어지면 집 주인 입장에서는 목돈 활용도가 떨어진다"며
"월 임대료를 낮게 책정하더라도 은행에 넣어두는 것보다는 수익률이 높아 월세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전세물량이 점차 줄어들면서 전셋값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전세 소멸에 기름을 붙는 상황"이라며
"전세물건이 줄고 전세가율이 늘어나면서 깡통전세에 대한 세입자들의 우려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물건 품귀로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이미 전셋값이 한계에 달했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현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이미 전세가율은 70~80%를 넘어섰다.
전세보증금을 올려 받아도 자금을 운영할 곳이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 경매가율이 80%대인 것을 감안하면
세입자도 깡통전세를 우려해 고가의 전세물건을 피하기 마련이다. 전셋값이 더 오르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부동산 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답으로 풀어본 안심전환대출 궁금증...오늘의 가락시영아파트 시세(3월25일) (0) | 2015.03.25 |
---|---|
주택시장 어디로…본격 회복 vs 일시 반등//부동산시장 5가지 상식이 깨지다 (0) | 2015.03.24 |
서울‘수서·문정’ 지역, ‘미래형 복합도시’로 조성 (0) | 2015.02.28 |
2015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가락시영아파트재건축 시세(2월3일) (0) | 2015.02.03 |
'7차 투자활성화 대책'.. 전체 내용 한눈에 보기 (0) | 2015.01.20 |